부동산시계열

2025년 5월 1주 주간아파트 통계자료 (by KB부동산)

bujadondon 2025. 5. 10. 00:29
반응형

 

주간 변동률 - 매매 

 

전국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지난주(조사기준 428) 대비 매매는 0.00%, 전세는 0.01% 기록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8% 오르면서 15주 연속 상승했으며 상승폭은 전주(0.15%)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수도권(0.03%)은 경기, 인천 모두 0.00%의 변동률로 보합권에 머물렀고, 지역별로 살펴보면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02%)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세종(0.22%)4월 둘째 주(조사기준 414)에 상승 전환한 이후 4주째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이번주 상승폭은 감소했습니다.

 

 

 

주간변동률 - 전세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 대비 0.01% 상승했고, 3월부터 매주 0.01%씩 오르면서 10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3170.01% 3240.01% 3310.01%470.01%4140.01%4210.01%4280.01%550.01%).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올랐습니다. 서울(0.01%), 경기(0.02%)는 상승했고 인천(0.00%)은 보합에 그쳤습니다.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00%)는 지난주(0.01%) 소폭 오르면서 상승으로 돌아섰다가 다시 보합에 머물렀습니다

 

 

 

부동산 매수우위지수

전국 매수우위지수는 31.2로 전주(30.4) 대비 0.8p 상승했지만 기준점 100미만의 '매도자 많음' 비중이 높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매수심리 위축은 여전한 분위기입니다.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58.3으로 전주(55.3)보다 3p 올랐습다. 4월 둘째 주(조사기준 414)부터 4주째 소폭 상승하는 추세이나, 100미만의 매도자 많음비중이 높다.

 

) 매수우위지수 = 100 + "매수자 많음" 비중 - "매도자 많음" 비중  (조사 항목: 매수자 많음, 비슷함, 매도자 많음)

매수우위지수는 0~200 범위 이내이며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가 많다', 100 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를 의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