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시계열 7

250407 주간아파트 통계자료 (by KB부동산)

토허제가 도로 시행되고 여행가고 하느라고 진정될 때까지 본의아니게 쓰지를 못했네요 ㅎㅎ 주간 변동률 - 매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5% 오르면서 1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소폭 둔화했다. 경기(0.00%)는 하락을 멈추고 보합 전환한 반면 인천(-0.02%)은 하락했습니다. 서울은 양천구(0.54%), 강남구(0.41%), 서초구(0.35%) 등은 상승, 금천구(-0.03%), 도봉구(-0.03%), 중랑구(-0.01%) 등은 하락했습니다.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06%)는 울산(0.02%)만 상승하고, 부산(-0.08%), 대구(-0.06%), 광주(-0.07%), 대전(-0.04%)은 하락했습니다. 광역시 이외 기타 지방 ..

부동산시계열 2025.04.12

250321 주간아파트 통계자료 (by KB부동산)

출렁이던 아파트가격이 다음주 통계자료까지는 계속 되겠네요 주간 변동률 - 매매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KB아파트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는 전주 대비 0.01%, 전세도 0.01% 상승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0.29%, 전세가 0.05% 상승하면서 지난 주보다 매매 변동폭이 커졌습니다. 경기도 매매는 -0.01% 하락, 전세 0.03% 상승, 수도권 매매는 0.08% 상승했습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69.4보다 소폭 하락한 68입니다.    주간변동률 - 전세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1%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은 0.03% 상승, 기타 지방은 -0.02% 하락했습니다. 서울 전세는 0.05% 상승했다. 영등포구(0.2%), 중구(0.17%), 용산구(0.14%), 강동..

부동산시계열 2025.03.21

250314 주간아파트 통계자료 (by KB부동산)

주간 변동률 - 매매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KB아파트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는 전주 대비 0.02%, 전세는 0.01% 상승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0.26%, 전세는 0.05% 상승하면서 지난 주보다 매매 변동폭이 커졌고,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63.4보다 상승한 69.4입니다.  경기도 매매는 -0.01% 하락, 전세 0.02% 상승, 수도권 매매는 0.07% 상승했습니다.    주간변동률 - 전세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1%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은 0.03% 상승, 기타 지방은 0.0% 보합입니다.서울 전세는 0.05% 상승했습니다. 강동구(0.19%), 강남구(0.18%), 용산구(0.15%), 동작구(0.08%), 중랑구(0.08%) 등이 상승, 금천구(-0.0..

부동산시계열 2025.03.14

주간아파트 통계자료 (by KB부동산)

주간 변동률 - 매매 전국 아파트 매매는 전주 대비 0.00% 보합, 전세는 0.01% 상승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0.16%, 전세는 0.07% 상승하면서 지난 주에 이어 모두 변동폭이 커졌습니다. 경기도 매매는 -0.01% 하락, 전세 0.02% 상승, 수도권 매매는 0.04% 상승했습니다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57.4보다 상승한 63.4입니다.   서울은 실제로 붉은색이 늘기 시작했습니다. 주간변동률 - 전세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1%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은 0.03% 상승, 기타 지방은 -0.02% 하락했습니다. 5개 광역시(0.01%)는 울산(0.11%), 광주(0.04%), 부산(0.01%), 대전(-0.02%), 대구(-0.05%) 순으로 변동을 보였습니다.

부동산시계열 2025.03.07

250224 기준 주간아파트 통계자료 (by KB부동산)

주간 변동률 - 매매 토허제 해제가 정말 큰 영향을 미치네요 전국 아파트 매매는 전주 대비 -0.04%, 전세는 -0.01% 하락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0.14%, 전세는 0.02% 상승하면서 지난 주에 이어 매매 변동폭이 커졌습니다. 경기도 매매는 -0.04% 하락, 전세 0.01% 상승, 수도권 매매는 0.02% 상승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52.2보다 상승한 57.4입니다.   주간변동률 - 전세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1% 하락했습니다. 수도권은 0.02% 상승, 기타 지방은 -0.05% 하락했습니다.

부동산시계열 2025.03.02

250217 기준 주간아파트 통계자료 (by KB부동산)

주간 변동률 - 매매전국 시도별 아파트매매가격은 서울과 전북만 상승했고, 서울은 구별로 볼 때 강남, 서초, 용산, 송파구가 상승률을 이끌었습니다. 강남구는 토허제 해제 이후 매도자들이 매물을 걷어들였고, 원래 토허제에 해당되지 강남 다른동까지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주간변동률 - 전세전세는 서울과 수도권만 0.02% 약한 상승이며, 그 외 지역은 0% 보합상태입니다.

부동산시계열 2025.02.21

250210 기준 주간아파트 통계자료 (by KB부동산)

주간 변동률 - 매매전국 시도별 아파트매매가격은 서울과 전북만 상승했고, 서울은 구별로 볼 때 강남, 서초, 양천, 송파구가 상승률을 이끌었습니다.과천의 경우 주공 8,9단지 이주예정으로 전세물건이 줄고 가격이 급등하는 중입니다. 주간변동률 - 전세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상승세입니다. 매수우위지수: 100에 미치는 지역이 없어 현재는 매도자 우위로 보입니다. 매수우위지수 = 100 + "매수자 많음" 비중 - "매도자 많음" 비중  (조사 항목: 매수자 많음, 비슷함, 매도자 많음)매수우위지수는 0~200 범위 이내이며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가 많다'를, 100 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를 의미

부동산시계열 2025.02.15
반응형